티스토리 뷰
1. 리눅스 cron (주기적인 작업 등록 및 관리)
1) cron 개요
cron은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주기적인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유틸리티. 시스템 관리, 백업,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2) cron 작동 방식
cron은 crontab이라는 파일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crontab 파일에는 실행할 작업, 실행 시간, 실행 주기 등이 정의 되어 있다. cron은 시스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crontab 파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정의된 시간에 작업을 실행한다.
3) crontab 파일 설정
crontab 파일은 사용자별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vi 또는 nano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편집한다. crontab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① 분 : 0 - 59 범위, 매 분 실행하려면 * 사용
② 시간 : 0 - 23 범위, 매 시간 실행하려면 * 사용
③ 일 : 1 - 31 범위, 매일 실행하려면 * 사용
④ 월 : 1 - 12 범위, 매월 실행하려면 * 사용
⑤ 요일 : 0 - 6 범위 (0 : 일요일, 6 : 토요일), 매일 실행하려면 * 사용
⑥ 명령어 : 실행할 작업의 명령어
4) crontab 파일 예시
# 매분 "test.sh" 스크립트 실행
* * * * * /home/user/test.sh
# 매일 오전 5시에 "backup.sh" 스크립트 실행
0 5 * * * /home/user/backup.sh
# 매월 1일 새벽 3시에 "update.sh" 스크립트 실행
0 3 1 * * /home/user/update.sh
# 월, 수, 금요일 오후 2시에 "report.sh" 스크립트 실행
0 14 * * MON,WED,PRI /home/user/report.sh
5) crontab 파일 편집 및 관리
① crontab -e : crontab 파일 편집
② crontab -l : crontab 파일 내용 확인
③ crontab -d : crontab 파일 삭제
④ crontab -r : crontab 파일 재설정
6) 기타 cron 관련 명령어
① service cron restart : cron 서비스 재시작
② systemctl restart cron : cron 서비스 재시작 (systemd 사용 시)
7) cron 활용 예시
① 시스템 백업
② 로그 파일 관리
③ 데이터 처리
④ 서버 관리
⑤ 웹사이트 업데이트
⑥ 알림 및 메시징
'SCIT > 11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11月15日. 네트워크 필수 개념 (0) | 2024.11.15 |
---|---|
[Linux]11月15日. 시스템 설정 : 일회성 작업 등록(at) (0) | 2024.11.15 |
[Linux]11月15日. 파일 찾기 (0) | 2024.11.15 |
[Linux]11月14日. 파일 압축과 묶기 (0) | 2024.11.14 |
[Linux]11月14日. DNF(Dandified) (2) | 2024.11.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css
- DB
- Spring boot
- javascript
- setting
- 오븐시계
- java
- MySQL
- Linux
- 가계부만들기
- springboot
- ajax
- if문
- data science academy
- 2739번
- Intellij idea
- 2480
- html
- 백준
- 반복문
- 조건문
- JPA
- Spring
- backjoon
- Mod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